본문 바로가기
개발/개발 일기

프로그래머스 Silly Talk 후기

by 째스터 2022. 10. 19.
728x90

프로그래머스에 진행한 Silly Talk에 참여했다.
강연 전체 내용은 분명 누군가가 적어줄 예정이니 내가 개인적으로 와닿았던 부분만 기록한다.


한기용 개발자님(그랩 USA CTO)

과거 EO 영상에서 해주셨던 좋은 이야기와 비슷하면서 다른 이야기를 해주셨다.
영상을 n회차 보니깐 나름 내적 친밀감도 생겼는데 알고 보니 같은 금호동 출신이셨다!

- 삼성전자에서 SI는 남의 일을 하는 느낌이 들었다.
- 창업은 친한 사람과 하면 사이가 나빠진다.
- 회사에 친한 사람들이 너무 많아도 인력 확장이 어렵다.
- 큰 회사보다 작은 회사가 전문성을 기르기 유리하다. 노후에 대기업에 가는 것도 좋다.
=> 정말 그런 것 같다. 우리 팀 1년 차 개발자가 맡는 일을 봐도 최소 대리급이 맡을 만한 업무들이다.
팀원 개개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매니저의 의미 있는 피드백은 장점이라고 생각한 단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 야후에서 CI/CD Unit test에서 fail을 낸 직원은 웃긴 모자를 쓰는 벌칙이 있었다.
=> 우리도 한 번 해볼까?

- 스스로의 만족이 중요하다. 남들의 시선에 신경 쓰지 마라.
=> 이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나는 아직도 잘 못 하겠다.😥

- 파이를 키우려는 문화가 중요. 그렇지 않으면 한정된 파이를 차지하려 정치를 하게 됨.
- B2C는 pricing이 중요, B2B는 snow ball을 키우는 것이 중요.
- 가장 중요한 것은 integrity.


이건호 개발자님(Enuma CTO)

CS 지식을 회사 생활과 연관지은 참신한 강연이었다.

- 과학은 Discovery, 공학은 Trade-off.
=> 자연의 원리를 발견해서 원리를 이해하는 것 공학은 발견된 원리를 응용하는 것.
나의 업무는 공학에 가깝다.

- Opimization: 각각의 변수(개인)는 모두 다른 가치를 중요시한다.
(p1x1 + p2x2 + p3x3 + ... )
회사는 최대의 값을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개인-회사의 목표 align이 중요하다.
=> 개인-회사의 align은 지금 회사 OJT 때 내 자기소개마다 말했던 말이라 반가웠다.

- Performance: 너무 100%로 일하면 오히려 효율은 떨어진다.
- Scheduling: 중요도, 우선순위에 따른 업무 배분이 중요.
성능 개선은 최소 2배를 목표로 한다.
단순한 것이 최고다.


이승준 개발자님(Apple Data Operation Engineer)

오픈소스 쓰라는 말과 깨알 팁들을 알려주셨다.
과거에 EO 리얼밸리를 보면서 실리콘 밸리 개발자를 꿈꿨었는데 다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 오픈소스 써라.
- 학습은 영어로 Udemy, youtube, Pluralsight에서 영어로 해라.
- 책을 사서 읽고 글을 쓰거나 발표를 해라. 읽기만 하는 것과 다르다.
- Stack Overflow도 활용해라.
- https://www.levels.fyi/
=> 실리콘 밸리 물가가 비싸긴 할 테지만 연봉 장난 아니다...

- 여러 가지 도전을 두려워하지  마라. 인터뷰 떨어져도 포기하지 마라.
- zoom out 해서 넓게 봐라.
- Business logic 보다는 회사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학습해라.
=> 이 말이 정말 공감된다. 결국 개발자는 엔지니어다.

- 매니저에게 주기적으로 회사 road map을 물어봐라.
- CS fundamental은 면접 때 말고는 공부해본 적 없다.
=> 나도 CS fundamental 이 비교적 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나의 업무는 과학보다는 공학에 가까우니깐.
그런데 개발자를 뽑으려면 CS 지식 질문을 해야 하고 그러려면 나도 공부해야 하는 딜레마가 있다.

- S급 기술 1개 ≒ B급 기술 3~4개를 가진 사람
-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마라.
- 잘하는 놈이 오래가는 것이 아니다. 오래가는 놈이 잘하는 거다.
- 오픈소스 선택 기준: performance, maturity, security


728x90

'개발 > 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 Conf 2023 x Seoul 참가 후기  (2) 2023.01.20
프로그래머스 키트  (0) 2023.01.08
Stack Overflow 이용해보기  (1) 2022.09.25
MAUI 공부 시작  (2) 2022.08.30
Heroku 2022-11-28부터 free 플랜 서비스 중단  (0) 2022.08.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