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독후감] 트럼프 2.0 시대

by 째스터 2024. 12. 15.
728x90

미국의 영향력이 큰 만큼 트럼프가 당선되고 여러 나라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이 많은 것 같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재와 미래는 밝지 않다.




불법 이민자가 얼마나 들어오느냐는 중산층 이하 서민들의 임금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 우리 나라의 미래가 될 것이라 예상한다.

지금까지 백인들은 이 같은 역차별에 불만이 매우 컸지만 사회적 시건 때문에 표출할 수 없었는데, 트럼프가 가려운 곳을 긁어 준 덕분에 백인들 사이에서 인기몰이를 하면서 2024년 대선에서 당선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방위비 증액 요구는 우리나라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트럼프의 감세는 관세로 다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국채 발행으로 메우게 된다.
⇒ 국채 가격 하락, 국채 금리 상승

감세 정책은 미국 상업용 부동산과 은행들의 미래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간첩법은 외국이나 외국 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앞으로 중국 여행 가기는 힘들어질 수도 있다.

중국 내부의 불만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되면 다른 나라와 갈등을 유발해서라도 중국인들의 관심을 외부로 돌리려고 시도할 겁니다.

중국의 석유 개발이나 에너지 전환이 지금처럼 빠르게 진행된다면 대만 침공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음.

우리 입장에서는 미국에 진출했다가 자칫 현장 기술력만 전수해 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나는 조선 기술력이 전수 되었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기술력을 따라올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조선업이 성공했었던 이유는 작업 방식에서 한국인의 특성도 영향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값싼 에너지가 사라지면서 쇠락해 가던 유럽의 몰락이 더욱 가속화될 위험이 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에너지에 의존하게 된 유럽에 나토 분담금이나 방위비 지출을 확대하라고 더욱 거세게 요구할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당선은 네타냐후가 정치적 생명 연장에 결정적 영향을 준 것은 물론 향후 중동 질서에도 큰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중동 지역에서 미국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그 틈을 중국과 러시아가 파고들 가능성이 커질 겁니다.

우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인구 문제를 지금 당장 해결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수년 내로 우리가 유럽보다 몇 배는 더 큰 고통을 겪게 될 겁니다.

- 인구 고령화
- R&D 투자 예산 부족
- 미국의 디지털 침공
- 달러 패권
⇒ 우리나라

유럽은 디지털 산업에 대한 규제로 일관했습니다.
당장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겠지만 결국 역효과를 낳았습니다.
...
이렇게 방어적인 정책으로 일관하다가 미국의 디지털 식민지로 전락한 겁니다.
⇒ K갈라파고스

이는 유럽처럼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 간의 갈등을 부추기고 언젠가 영국과 같은 큰 사회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이미 과잉 생산 국가인데 여기다가 생산 설비를 더 늘린다면 중국과 경쟁해야 하는 전 세계 기업들이 모두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습니다.
...
바로 글로벌 치킨 게임에 돌입하는 겁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을 촉발할 수 있는 엔화 가치 급등을 막기 위해 미국 연준과 일본은행이 공조를 하려고 노력할 가능성이 큽니다.

AI 패권 전쟁은 이제 곧 에너지 패권 전쟁으로 바뀌게 될 겁니다.

지금처럼 인구 구조 자체가 붕괴되어 장기 불황으로 가는 상황에서 천문학적인 재정 적자를 계속 누적하게 되면 나중에 인구가 반 토막 난 후세대가 돈을 갚아야 하기 때문에 지금의 국가 부채는 대한민국에 더 큰 위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부동산 값은 아무리 올라도 대한민국 생산성이 올라가거나 혁신 기업이 등장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지만, 증시가 활성화되면 엔젤 투자자들이 언제든 현금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혁신적인 스타트업이 자금을 조달하기가 훨씬 쉬워집니다.
⇒ 이런 관점으로 생각은 못해봤는데 맞는 말이다. 부동산 정책에만 집중하는 정치권이 너무 아쉽다.

이런 왜곡된 실업률 통계 때문에 '그냥 쉬는 청년들'의 심각한 문제를 해결할 정부의 의지가 약화된 측면이 있습니다.
⇒ 이 책 전반에 걸쳐서 왜곡된 통계로 인해 정책적인 판단력이 흐려지는 사례가 많은 것 같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51631229&start=slayer

 

트럼프 2.0 시대

세계 경제사의 현장에서 함께 뛰어온 박종훈 경제 전문가가 정확한 분석과 대비를 통해 트럼프 리스크를 트럼프 기회로 바꿀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더불어 트럼프 정책이 어떤 나비 효과를

www.aladin.co.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