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입사원 교육 이후 팀에서 가장 처음 받았던 업무는 Globalization 업무였습니다.
여러 나라에서 이용하는 Application은 각 나라의 언어에 해당하는 String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ASP.NET Framework의 resx 파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에 해당하는 resx 파일을 2개 만들고(resourceEN.resx, resourceKO.resx)
단어 '컴퓨터'를 매칭시킬 ID를 임의로 생성합니다(ex. resourceComputer)
각각의 resx파일에 resourceComputer에 해당하는 data를 입력합니다.
영어 resx 파일에는 'Computer', 한글 resx 파일에는 '컴퓨터'를 추가합니다.
- resourceEN.resx
1 2 3 | <data name="resourceComputer"> <value>Computer</value> </data> | cs |
- resourceKO.resx
1 2 3 | <data name="resourceComputer"> <value>컴퓨터</value> </data> | cs |
이때 생성된 resourceComputer를 이용하여 페이지에서 Locale이 Ko-KR일때 '컴퓨터', En-US일때 'Computer'로 나타나게 합니다.
팀의 제품들의 하드 코딩된 String들을 찾아 ID를 생성해서 국가별로 .resx파일이 적용되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팀 제품의 모든 페이지을 들여다 봐야했기 때문에 굉장히 오랜 기간 (지루한) 작업이 계속 됐습니다.
하지만 이 작업 덕분에 현재에는 개발 대상 페이지가 어디에 있는지 쉽게 찾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728x90
'개발 > 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C#이다 (0) | 2021.05.01 |
---|---|
스타트업 생활 6개월 차 - 개발 인프라 (0) | 2020.12.04 |
나의 퇴사 이유 (0) | 2020.07.25 |
개발 언어와의 첫만남-2 (0) | 2018.09.11 |
개발 언어와의 첫만남-1 (0) | 2018.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