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개발 일기50 스타트업 생활 6개월 차 - 개발 인프라 CI/CD, Azure 클라우드를 활용한 개발 인프라가 구축되어있었다. 구축형 병원 시스템, 오라클 vm 개발 서버만 봐왔던 나에게는 신세계가 따로 없었다. 알고 보니 내가 오기 직전에 대부분의 인프라 구축이 완성됐었다고 한다. 아직 클라우드화 안 되어 있는 부분은 나도 직접 구축에 참여했다. 개발 서버부터 API까지 꽤 많은 부분을 함께할 수 있었다. 반면, 소스코드는 더 구식이었다. 처음 소스코드를 보고는 괜히 이직했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곳곳에 새로운 개발 패턴, 프레임워크를 도전했던 흔적이 있었고, 개발 회의마다 다른 개발자들의 발표와 쌓여가는 컨플루언스 자료를 보면서 계속 개선하려는 노력과 방향성이 보였다. 이전 회사에서 5년 후에도 변함이 없을 것 같았지만, 지금은 5년 후에는 .. 2020. 12. 4. 나의 퇴사 이유 2년 8개월 동안 일했던 회사에서 스타트업으로 이직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고, 비전공자인 저를 받아준 고마운 회사였지만 개발자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여러 상황들에 불만을 갖게 되었습니다. 1. 기술 부채 모든 인프라와 기술들이 회사 창업 시기와 비슷한 기술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보다 더 심각한 건 개선의 의지조차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미 수년의 테스트를 통해 안정화된 제품인데 굳이 건드리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팀에서 개발 총괄을 맡으신 분이 그나마 개선의 의지를 갖고 계셔서 함께 열심히 팀을 바꿔보려 했지만, 라이브러리 버전 업데이트도 주저하는 팀원들에게 CI/CD 도입이나 최신 프레임워크는 당연히 용납되지 않았습니다. 2. 코드 리뷰 저는 팀장님에게 계속 팀 세미나와 코드 리뷰를 해야한다고 주.. 2020. 7. 25. 첫 번째 임무 신입사원 교육 이후 팀에서 가장 처음 받았던 업무는 Globalization 업무였습니다.여러 나라에서 이용하는 Application은 각 나라의 언어에 해당하는 String이 출력되어야 합니다.ASP.NET Framework의 resx 파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에 해당하는 resx 파일을 2개 만들고(resourceEN.resx, resourceKO.resx)단어 '컴퓨터'를 매칭시킬 ID를 임의로 생성합니다(ex. resourceComputer) 각각의 resx파일에 resourceComputer에 해당하는 data를 입력합니다.영어 resx 파일에는 'Computer', 한글 resx 파일에는 '컴퓨터'를 추가합니다.- resourceEN.resx123.. 2018. 9. 23. 개발 언어와의 첫만남-2 JavaScript학교 웹프로그래밍 과목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아주 조금 맛보았습니다. 그런데 그게 정말 아주 조금이었습니다.소스 코드에 찍혀있는 처음 보게 된 '$'들.. 'ajax가 뭐지.. 축구팀인가?', 'JSON은 왜 쓰는거야...'틈틈히 구글링하며 공부하고 점차 이런 의문들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9개월이 지난 지금 저는 '$'의 주인공인 jQuery의 편리함에 빠져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이 편리한 라이브러리를 공유하고자 jQuery를 중심으로 포스팅할 계획입니다. ASP.NET팀에서 사용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 입사 전 면접에서 마지막으로 질문이 있냐고 물어봐서 질문했습니다."웹 개발에 ASP.NET을 주로 이용하신다고 하셨는데, 미리 공부해야 할까요?"팀장님이 대답했습니다.. 2018. 9. 11. 개발 언어와의 첫만남-1 신입사원 교육이 끝난 후 팀에 들어왔을 때 팀장님이 앞으로 주로 쓰게될 언어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C#가장 걱정이 많았던 부분이었습니다. 저는 C로 프로그래밍에 입문하였고, 학교에서는 JAVA로 수업을 진행했기 때문입니다.경험해보지 않았던 C#였지만 C를 배우며 경험했던 비주얼 스튜디오가 두려움에 떨고있는 저를 반겨줬습니다.많은 툴을 경험해보지는 않았지만 비주얼 스튜디오는 아주 편리하고, 좋은 툴인 것 같습니다.그리고 아주 방대한 정보가 있는 MSDN 덕분에 쉽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링크는 제가 오늘 검색한 LoadFrom 메서드입니다).개인적으로 C#의 최대의 장점이 MSDN이라고 생각합니다.기술적으로 궁금하거나 막히는 것이 생기면 MSDN과 StackOverflow를 자주 이용하고있습니다. Or.. 2018. 9. 10. 이전 1 ··· 3 4 5 6 다음